경제 (economy)

1인가구증가 그래프 비율 (아파트하락)

루이언스 2021. 10. 6. 02:09
반응형

서울시의 1인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금같은 증가세로는 2025년이 되었을 경우 전체 비중의 34%로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에 3집중 1집은 1인가구라는 이야기이며 이중

년세대가 4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중 직장, 학교와의 거리로 인해 1인가구가 된 청년세대층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서울시 전체의 소비패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실제로 코로나 이전부터도 택배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었으며 

 

코로나로 인해 가속화되었을 뿐 큰 흐름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고령화인구가 늘면서 앞으로 노년층까지 1인가구 증가에 박차를 가할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1인가구의 가장 큰 문제점중 하나인 정서적 외로움을 해결해줄수 있는 분야나 

 

함께살지만 사생활이 보장되는 코리빙 형태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지금이야 "빚투""영끌" 등으로 2030세대가 모든대출을 이용하여 아파트를 구매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미래관점으로 지금도 계속해서 소형임대주택에 대한 공급은 계속되고 있고

 

현재는 가장 큰 수익을 안겨주는 아파트이지만,

사실상 4인주거형태로 많이 소비되는 것이 아파트입니다. 

 

1인가구가 증가한다는건 반대로 이야기해서 4인주거시설인 아파트에 대한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고, 이 점이 바로 1인가구의 증가와 충돌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아파트가격의 지속적 하락하는 시기가 오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아파트라고해서 무조건 믿을수 있는것이 아니고 하락시점이 온다는것을 대비하여 매매타이밍을 잡아 차익을 보고 나서 "100%아파트 투자"가 아닌 여러가지 형태로 투자를 분산시켜놓아야 한다라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89562&ref=A 

 

2047년 ‘고령자 1인 가구’ 400만 돌파…80세 이상 1인 가구↑

2047년이 되면 고령자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20%인 400만 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통계청이 전망했습니다....

news.kbs.co.kr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1487

 

월세 300만원인데 줄 섰다, 2030이 요즘 빠졌다는 이런 집

침구 교체, 청소, 석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있다.

www.joongang.co.kr

https://www.segye.com/newsView/20211003508074?OutUrl=naver 

 

‘빚투’·‘영끌’ 폭탄 위험에도… 2030 아파트 ‘사자 행렬’ 계속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가 소폭 둔화하면서 집값 약세전환에 대한 기대가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는 추석 연휴와 금융권 대출 규제 등의 영향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의견이 지

segye.com

 

반응형